광고

대한건설경제

포스코실리콘솔루션, 차세대 실리콘 음극재 공장 준공

안금재기자 | 기사입력 2024/11/08 [16:57]

포스코실리콘솔루션, 차세대 실리콘 음극재 공장 준공

안금재기자 | 입력 : 2024/11/08 [16:57]

- 연산 550톤 이차전지 소재용, 2030년 연산 2만 5000톤 생산 목표 

- 포항시, 이차전지 양극재‧음극재 산업 글로벌 허브로 도약 

 

(주)포스코실리콘솔루션이 7일 영일만산업단지에서 차세대 실리콘 음극재 공장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번 공장은 591억 원이 투입돼 연간 550톤 규모의 실리콘 음극재를 생산하며, 이는 전기차 27만 5,000대 분량이다. 또한, 2030년까지 연산 2만 5천톤의 실리콘음극재 생산체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포스코실리콘솔루션 준공식

 

㈜포스코실리콘솔루션의 차세대 음극재(실리콘) 공장 준공식을 7일 영일만산업단지에서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양금희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이강덕 포항시장, 김준형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총괄, 주세돈 포항산업과학기술원(RIST)원장, 이재우 포스코실리콘솔루션 대표이사 등 지역 주요 산학연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사업소개, 준공 보고, 기념사, 축사 및 컷팅 퍼포먼스, 기념 촬영 순으로 진행됐다.

 

이번 실리콘음극재 공장은 591억원이 투입되어 연산 550톤 규모로 전기차 27만 5천대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이며, 2030년까지 연산 2만 5천톤의 실리콘음극재 생산 체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실리콘음극재는 현재 리튬이온전지에 대부분 사용되는 흑연계 음극재보다 에너지 밀도가 약 4배 정도 높아 전기차 주행거리 향상은 물론 충전 시간도 단축할 수 있는 차세대 음극재로 주목받고 있다. 

 

2020년 6천톤으로 음극재 시장의 1.2%에 불과했던 실리콘음극재는 2027년에는 약 32만 톤까지 증가해 10.1%를 차지할 전망이다. 

 

그뿐만 아니라 2020년부터 2027년까지의 실리콘 기반 음극재 소재 연평균 성장률은 76.6%로 다른 소재(음극활물질) 대비 급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차전지 소재 전 밸류체인 구축을 추진 중인 포스코그룹은 차세대 음극재 사업 추진을 위해 2022년 7월 실리콘음극재 개발업체인 테라테크노스를 인수해 ‘포스코실리콘솔루션’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포스코실리콘솔루션은 포스코홀딩스의 출자를 기반으로 실리콘 음극재 1단계 생산설비를 구축하고, 본격적인 생산 및 판매에 돌입할 계획이다. 

 

향후 포스코그룹은 7대 미래혁신과제 중 ‘이차전지소재 경쟁력 및 혁신기술 선점’에 따라 리튬 등 이차전지소재 원료 사업과 양·음극재 사업은 물론, 실리콘음극재, 리튬메탈음극재, 고체전해질 등 차세대 이차전지소재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경상북도와 포항시는 2018년 에코프로와 이차전지 소재 생산 및 배터리 리사이클링 공장 신설을 내용으로 하는 1조원 규모의 투자를 끌어낸 데 이어, 2019년에는 포스코퓨처엠의 음극재 생산공장, 2021년에는 양극재 생산공장, 2022년에는 중국 CNGR의 전구체 공장을 유치했다. 

 

또한 배터리 리사이클링 신사업 분야에 진출한 GS건설도 1천억원을 투자하는 등 이차전지 관련 기업의 집적화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2023년 7월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지정되었다.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이번 포스코실리콘솔루션의 실리콘 음극재 공장 준공은 경북과 포항의 이차전지 산업 생태계 강화에 큰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경상북도는 포스코실리콘솔루션을 포함한 이차전지 소재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 도배방지 이미지